top of page

한인 청소년 절반 이상, 문화 차이로 정체성 혼란 경험

ree



미 거주 한인 청소년 절반 이상이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민참여센터(KACE)가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특히 대학생들이 고등학생보다 정체성 혼란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미 거주 한인 청소년 10명 중 6명 가까이가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 때문에 정체성 혼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25년 한인 청소년 정체성 설문조사 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포함한 응답자의 56.9%가 두 나라 문화의 간극으로 혼란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대학생의 정체성 혼란 경험 비율이 고등학생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대학생의 경우 94.7%가 문화 차이로 정체성 혼란을 겪은 반면, 고등학생은 38.5%에 그쳤습니다. 관계자는 “고등학교 시절에는 비슷한 환경의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지만, 대학에서는 다양한 집단과 어울리면서 정체성 혼란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2003년생부터 2011년생까지 한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 자신을 뚜렷하게 ‘한인’으로 규정한 비율은 47.8%에 불과했고, ‘미국인’이라고 답한 비율도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미국에서 태어났거나 어린 시절 이민 온 한인 청소년들은 한국에서도 완전히 소속감을 느끼기 어렵고, 미국에서도 이방인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며 “차세대 한인에게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설문에 참여한 67명 가운데 ‘한국 문화 활동에 항상 참여한다’고 답한 청소년은 9명에 불과했습니다. 한국 문화를 접한 경로로는 가족(71.6%), 영화 및 TV 프로그램(67.9%), 소셜 미디어(58%), 음악(52.9%), 인터넷 동영상(49.4%), 인터넷 기사(35.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news@am1660.com


AM1660 K-라디오의 기사와 사진에 대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K-RADIO

Headquarter
209-35 NORTHERN BLVD. #212 BAYSIDE, NY 11361 (Headquarter)
info@am1660.com

Tel: (718) 352 - 1660
Fax: (718) 352 - 1663

New Jersey
530 Main Street #202 Fort Lee,
NJ 07024 

Tel: (201) 242 - 1660

  • Youtube
  • Instagram
  • naver

Washington D.C.

3554 Chain Bridge Rd #306,

Fairfax, VA 22030

info@dc1310com

Tel: (703) 273 - 4000

© 2025 K-RADIO LLC

bottom of page